전체 글208 2024년 최저임금 결정! 올해 최저임금 논의는 역대 최장 기간이 소요됐을 정도로 의견이 치열하게 맞붙었다. 내년부터 240원 오른다. 2024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으로 결정됐다. 올해 9,620원에서 240원 인상되었다.최저임금과 전년 대비 인상률2020년 : 8,590원 (3%)2021년 : 8,720원 (1.5%)2022년 : 9,160원 (5%)2023년 : 9,620원 (5%)인상폭이 줄어들었다.올해 인상률은 2.5%로 작년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편이다. 최저임금은 노동계와 경영계, 공익위원들이 모여서 결정하는데, 올해 공익위원들은 경영계가 제시한 금액에 투표를 했다. 경영계 지금도 힘든데 소상공인들은 최저임금 동결해도 부족하다노동계 물가상승률도 못 따라간다. 실질적인 임금 삭감.. 2023. 7. 20. 나라에서 도와주는 적금. 나만 못받나? 적금을 부으면 나라에서 돈을 보태주는 청년도약계좌가 공개되었다. 5년동안 꾸준히 적금을 넣으면 일반 은행 적금보다 200만원 이상의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 계좌이다. 가입조건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지 않았거나 최근 3년내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원 이상이 아니라면 가입가능.나이 : 만 19세 ~ 34세* 군 복무자는 만 36세 이상도 가능개인소득 : 연 7,500만원 이하가구소득 : 중위소득 180%이하*22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가구 349만원, 2인가구 586만원, 3인가구 754만원,4인가구 921만원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소득을 한 줄로 세웠을 때 가운데 오는 중간값을 뜻한다. 여기에 180%를 곱하면 중위소득 180%를 알 수 있다.장점 1. 기여금 지급 5년동안 매달 70만원 .. 2023. 4. 6. 에너지바우처로 폭탄 관리비 관리하자! 지난달 관리비 영수증을 받아 보고 다들 주변이 난리였다.처음에는 아이들 방학이라 전기요금이 많이 나왔나 생각을 했다.컴퓨터 게임을 줄이자, 일찍 잠들자 등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웬걸 난방비가 폭탄이다.처음엔 우리집만 유달리 많이 나온 줄 알았는데 곧 주변 사람들이 하나 둘 연락이 오기 시작했다.따뜻하게 지낸 것도 아닌데 요금은 어마어마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라 난방비 폭탄에 이어 다음 달 전기요금 부담까지 관리비 때문에 다들 걱정들이다.나라에서 지원하고 있는 복지가 있으니 해당되는 분들은 참고해 보길 바란다. 에너지 바우처는 경제적 부담 등으로 에너지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취약계층에 전기, 가스, 지역난방 등 필요 에너지의 이용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대상자 ◇ 소득기준과 세대원 특.. 2023. 1. 27. 아동 자산 형성 - 디딤씨앗통장! 사업안내디딤씨앗통장은 취약계층 아동이 사회에 진출할 때 필요한 초기비용 마련을 지원하고자, 정부에서 운영하는 유일한 아동자산형성지원사업이다.목적-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진출 시 학자금. 취업. 창업. 주거마련 등에 소요되는 초기비용 마련을 위한 자산형성을 적 극적. 장기적으로 지원할 필요.- 2007년 4월부터 미래 성장 동력인 아동에 대한 사회투자로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고 건전한 사회인 육성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CDA-Child Development Account)'추진 근거「아동복지법」- 제42조(자산형성지원사업)- 제43조(자산형성지원사업 관련업무),- 제44조(자산형성지원사업 관련업무의 위탁) 대상아동보호대상아동- 만 18세 미만의 아동복지시설 보호아동- 가정위탁보호아동- 장애인 .. 2023. 1. 17. 특례보금자리론 신청하세요! 1월 30일부터 특례보금자리론 신청을 시작합니다.* 신청방법 : 한국주택공사 홈페이지 및 스마트주택금융앱*소득제한 :없음*주택수 : 무주택자(구입용도) 및 1 주택자 (상환·보전용도)*금리: 우대형(4.65~4.95%)과 일반형(4.75~5.05%)중도상환수수료: 면제예정기존의 보금자리론에 일반형 안심전환대출, 적격대출을 통합한 특례보금자리론을 1년간 한시 운영한다. 10.15.20.30.40.50 년 6가지 만기 중 선택가능하다.*만기 40년(만 39세 이하 또는 신혼부부) · 만기 50년(만34세 이하 또는 신혼부부) 온라인신청*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https://www.hf.go.kr/ko/index.do | 한국주택금융공사 www.hf.go.kr* 스마트주택공사앱 자세히보기https://bl.. 2023. 1. 16. 월 70만원! 부모급여 신청방법 및 지급시기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출산 육아지원정책 임신출산진료비지원첫 만남이용권부모급여아동수당가정양육수당3+3 부모육아휴직제다자녀대학등록금지원다자녀주거지원전기요금할인 2023년 1월부터 지급되는 부모급여영아기 부모의 직접 돌봄을 지원하고 양육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지급 소관기관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 보육정책관 보육사업기획과 지원대상 영유아(2022.1.1 이후 출생아 중 24개월 미만)를 직접 돌보는 가정을 대상 지원형태현금/현물 지원내용영유아(2022.1.1 이후 출생아 중 24개월 미만)를 직접 돌보는 가정을 대상으로 지급 지급금액 만 0세 월 70만 원, 만 1세 월 35만 원 지급시기 23년 1월부터 매월 중복불가 서비스어린이집 보육료 바우처, 종일제 아이 돌봄 서비스 중복가능첫 만남이용권, 출산장려금, 아동수.. 2023. 1. 14. 이전 1 ··· 31 32 33 34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