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f8e19721d849beff.html 폭염 끝났는데 부담은 계속된다: 아파트 관리비 전기요금 급등 실태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폭염 끝났는데 부담은 계속된다: 아파트 관리비 전기요금 급등 실태

by 1200moneybags 2025. 9. 20.
반응형

 

아파트관리비 전기요금 급등

 

기록적인 폭염이 지나가자 잠시 안도가 찾아왔지만, 아파트 주민들의 걱정은 여전하다. 올여름 전기요금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관리비 부담이 급격히 커졌기 때문이다. ‘9월 아파트리포트’를 기반으로 여름철 전기요금 변화와 그 원인, 앞으로 대비할 내용들을 짚어본다.

 

본문

1. 전기요금, 얼마나 올랐나?

  • 아파트 생활 지원 플랫폼 아파트아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 1200만 가구의 주거전용면적 1㎡당 평균 전기요금이 약 1,125원으로 예상됨. 이는 작년 8월의 968원에 비해 약 16% 상승한 수치다.
  •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계산할 경우, 8월 전기요금만 약 94,500원 청구될 전망.
  • 6월부터 시작된 전기요금 상승세:
    • 6월: 1㎡당 약 523원 →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
    • 7월: 약 781원 → 전년 671원 대비 16% 증가
    • 8월: 약 1,125원 → 전년 대비 16% 상승 예상

https://m.apti.co.kr/

 

아파트아이

아파트아이, 내 생활이 되다

m.apti.co.kr

 

2. 왜 이렇게 급등했나? 원인 분석

  • 역대급 폭염 및 평균기온 기록 갱신
    기상청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여름(6~8월) 전국 평균 기온이 관측 이래 사상 최고치(25.7℃)로 나타났고, 낮 최고기온 평균, 밤 최저기온 평균 모두 역대 1위를 기록함.
  • 열대야 및 폭염일수 증가로 냉방기 가동 시간이 늘었고, 전력 사용량 급증.

3. 관리비 내 전기요금 비중 & 주민 부담

  • 전기요금은 아파트 관리비 전체의 약 24%를 차지. 관리비의 4분의 1이 전기요금이라는 의미라서 요금 인상이 곧바로 거주비 부담으로 이어짐.
  • 여름철 무더위가 본격화된 6~8월 사이, 전기요금이 비율로는 6→7월→8월 순으로 큰 폭 상승: 전월 대비 6월 약 20%, 7월 약 49%, 8월 약 44% 수준으로 증가함.

 

결론 및 주민·정부의 대응 제언

  • 무더위가 기후 변화 추세와 맞물려 앞으로도 반복될 가능성 있음. 냉방기 효율 개선, 단열 강화, 옥상·창호 개선 등 주택 에너지 절감 대책이 필요하다.
  • 정부 및 지자체 차원의 전력요금 보조책, 혹은 누진제 조정 가능성 검토 필요.
  • 입주민들은 가전제품 사용 시간 조정, 전력 피크시간 회피, 에어컨 설정 온도 높이기, 에너지 효율 높은 제품 사용 등이 당장 실천 가능한 절약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