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 모기가 2025년 한 달 일찍 출현했습니다. 사망률 30%에 달하는 위험한 일본뇌염 예방접종 방법과 개인 방역 수칙을 상세히 알아보세요.
1. 올해 일본뇌염 모기, 전년 대비 한 달 일찍 출현
2025년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경기도 화성시 동탄에서 6월 3주차에 발견되어, 지난해 7월 5주 차보다 약 한 달 이른 시기에 나타났습니다. 이미 제주도와 전라남도에 이어 경기도까지 확산되면서 전국적인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질병관리청이 3월부터 국내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본격 시행하고 있으며, 2024년 국내에서는 일본뇌염 환자 21명이 발생했습니다. 올해는 이른 장마철과 고온 현상이 맞물리면서 모기 개체 수 증가가 예상되어 더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2. 감염 시 사망률 30%, 일본뇌염의 심각성
일본뇌염은 3급 법정감염병으로 분류되는 위험한 질병입니다. 대부분 발열이나 두통 같은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하지만, 6월부터 9월에 해당하는 여름과 가을에 최고치에 달합니다.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어 특히 위험합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여, 농촌 지역과 야외 활동이 잦은 분들께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ealth.kdca.go.kr
긴급 예방접종 신청하기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가까운 보건소나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 예방접종도우미 1339 또는 거주지 보건소로 문의하세요!
3. 일본뇌염 예방접종 완벽 가이드
소아 예방접종 일정
생후 12-23개월에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2차 접종일로부터 11개월 후 3차 접종을 실시합니다. 이후 6세와 12세에 각 1회씩 추가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성인 예방접종 방법
성인의 경우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한 후, 2차 접종일로부터 11개월 후 3차 접종을 받습니다. 특히 농업 종사자, 야외 활동이 많은 직업군, 농촌 지역 거주자는 반드시 접종받으시기 바랍니다.
예방접종 신청 방법
- 보건소 방문: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서 무료 접종 가능
- 지정 의료기관: 국가 지원사업 대상으로 17종 백신을 무료 접종할 수 있습니다
- 예약 문의: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nip.kdca.go.kr) 또는 콜센터 1339
- 준비물: 신분증, 예방접종 수첩(있는 경우)
모기 물렸을 때 절대 긁으면 안 되는 이유! 30초 만에 가려움 없애는 놀라운 방법 6가지
모기 물렸을 때 절대 긁으면 안 되는 이유! 30초 만에 가려움 없애는 놀라운 방법 6가지
2025년 여름철 모기 퇴치 방법부터 물렸을 때 가려움증 해결법까지! 중장년층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천연 모기 퇴치법과 가려움 완화 노하우를 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1. 2025년 여름, 모기가 더
moneybags1200.com
4. 생활 속 일본뇌염 모기 차단법
모기 활동이 활발한 4~10월에는 다음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야외 활동 시 필수 수칙
- 길고 품이 넓은 옷 착용으로 노출 부위 최소화
- 모기 기피제 사용 (DEET 성분 권장)
- 야간 야외 활동 자제
가정 내 방역 관리
- 집 주위 고인 물 제거 (화분 받침대, 빈 용기 등)
- 방충망 및 모기장 설치
- 에어컨이나 선풍기로 실내 공기 순환
올해는 일본뇌염 모기가 예년보다 한 달 일찍 나타난 만큼, 예방접종과 개인 방역에 더욱 신경 써야 할 때입니다. 특히 중장년층과 농촌 지역 거주자, 야외 활동이 잦은 분들은 즉시 예방접종을 받으시고 철저한 모기 방역으로 건강한 여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